이윤 | 공연수행, 안무와 매개자(媒介者)
photo @friezeofficial
Based between Los Angeles and Seoul, I work at the intersection of dance and visual arts. My choreographic practice is grounded in research-based inquiry shaped by my studies in Comparative Literature with postcolonial scholar Helen J.S. Lee, and extends into the creation of fiction, nonsense, and embodied questioning—of what is sensical, what is normal.
I’m drawn to the fracturing of speech: generating heat in the body with a supple tongue, melting the structures that constitute language, playing with the rules of grammar and the ways words are enunciated. Within the “correct” way to say a word lies the exercise of power—the enforcement of norms that determine who belongs and who does not. My experiments pose a central question: if language structures cognition, what happens when that language warps?
Recent performance work includes Five Acts & A Monologue by Young In Hong at Art Sonje Center, where I channeled women central to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and modern labor activism. One viewer described my performance as “accessing a planetary, pan-existential self-memory” (Seohee Im, audience member). Additional projects include Social Sensorial Collectiveness by Su-Mi Jang, premiered at Frieze Live in 2024; and my solo goo, presented by Gyun Hur at the Goat Farm Center for the Arts in dialogue with her installation Our Mothers, Our Water, Our Peace. This September, I will perform in a new work by Yi Yunyi for Windmill Perform’s curation Open Air.
In 2023, I was a danceWEB scholarship recipient at ImPulsTanz Festival, with support from the Korean Arts Council and Life Long Burning. As of 2025, I am an MFA candidate in Choreography at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You can reach me at: yunvlee@naver.com
로스앤젤레스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무용과 시각예술의 교차점에서 작업합니다. 저의 안무 작업은 언더우드국제대학에서의 학문적 경험, 특히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이 강조되는 환경 속에서 형성된 사유 방식을 바탕으로, 허구, 넌센스, 그리고 신체를 통한 ‘감각적 질문’으로 확장됩니다. 이는 무엇이 이성적인가, 무엇이 정상인가를 탐구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2023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Life Long Burning의 지원으로 임펄스탄츠 페스티벌에서 danceWEB 장학생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025년 현재는 캘리포니아 예술대학(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에서 안무학 석사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말하기의 구조를 해체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신체에 열을 발생시키고, 유연한 혀를 작동시켜 언어를 구성하는 구조를 녹여 문법의 규칙과 단어의 발화 방식을 가지고 놉니다. 어떤 단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방식 속에는 권력이 작동합니다—누가 소속되고 누가 배제되는지를 규정하는 보이지 않는 규범이 존재합니다. 저의 실험은 하나의 질문을 제기합니다: 언어가 사고를 구조화한다면, 그 언어가 휘어졌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최근 퍼포머로 참여한 작업은 한국의 독립운동과 노동운동의 중심에 있었던 여성들을 소환한 홍영인 작가의 다섯극과 모놀로그 (아트선재센터)에서의 퍼포먼스가 있습니다. 한 관객은 저의 퍼포먼스가 “마치 ‘범지구적, 범존재적 자기기억에 접속하기’처럼 보인다” 라고 표현했습니다 (—임서희, 관객). 그 외에도 2024년 프리즈 라이브에서 초연된 장수미 안무가의 사회 감각적 집합성, 허견 작가의 우리의 어머니들, 우리의 물, 우리의 평화 전시에서 발표한 솔로 작업 goo가 있습니다. 오는 9월에는 윈드밀의 기획 Open Air 퍼포먼스에서 이윤이 작가의 신작에 출연할 예정입니다.
문의: yunvlee@naver.com
last updated August, 2025